[루키] 강하니 기자 = 2013 드래프티들의 첫 계약 기간이 끝나가고 있다. 2016-17시즌은 2013 드래프티들의 마지막 루키 시즌이다. 근 몇 년 간 가장 약한 드래프트로 꼽혔던 2013 드래프트. 하지만 그 와중에도 꽃을 피운 선수들이 있고, 여전히 기대에 못 미치는 선수들도 있다. 마지막 루키 시즌을 앞둔 2013 드래프티들의 근황을 살펴보았다.



‘역대 최악의 1순위’ 중 한 명으로 평가 받는 앤써니 베넷은 과연 브루클린 네츠에서 반등할 수 있을까 ⓒ NBA 미디어 센트럴


# ‘불안, 불안’ 앞날이 불투명한 미생들

앤써니 베넷(1픽, 브루클린 네츠)

이미 ‘역대 최악의 1픽’으로 꼽히는 베넷은 지난 3년 동안 3번이나 유니폼을 갈아입었다. 데뷔 팀 클리블랜드에서 미네소타, 토론토를 거쳐 올시즌을 앞두고는 브루클린과 계약하며 간신히 NBA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토론토에서는 D리그도 다녀왔으니 참으로 기구한 커리어다.

사실 ‘역대 최악의 1픽’이라는 평가는 베넷 입장에서는 억울할 만하다. 애초부터 1픽에 걸맞은 수준의 선수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걸 감안해도 베넷이 형편없는 기량으로 실망을 안기고 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냉정하게 브루클린에서의 2016-17시즌은 베넷의 마지막 NBA 시즌이 될 수도 있다. 그만큼 베넷의 NBA 커리어는 큰 위기에 처해 있다.


벤 맥클레모어(7픽, 새크라멘토 킹스)

새크라멘토에서 많은 기대를 받으며 데뷔했던 맥클레모어는 지난 3년 동안 실망을 안겼다. 공격 기록은 나쁘지 않았다. 소포모어 시즌이었던 2014-15시즌에는 평균 12.1점 2.9리바운드 1.7어시스트의 준수한 기록을 남겼다. 하지만 효율이 문제였다. 맥클레모어의 야투율은 45%를 넘긴 적이 없다. 고질적인 슈팅 불안은 맥클레모어를 신뢰하기 힘든 공격수로 만들었다.

수비 역시 문제였다. 맥클레모어는 가냘픈(?) 체구의 소유자다. 단순히 마른 게 아니라 골격 자체가 상당히 얇고 작다. 파워를 겸비한 가드들을 막을 시에 문제를 너무 많이 노출한다. 그렇다고 해서 수비 센스가 특별히 좋은 것도 아니다. 수비에서 약점이 너무 뚜렷한 데다 공격도 불안한 상황. 올여름에는 애런 아프랄로가 오면서 주전 자리도 내주게 생겼다. 2016-17시즌 맥클레모어는 최대 위기를 맞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트레이 버크(9픽, 워싱턴 위저즈)

2013년 NCAA 토너먼트에서 미시건 대학을 준우승으로 이끌고 올해의 대학 선수상, 밥 쿠지상을 휩쓰는 등 전국구 대학 농구 스타로 군림했던 트레이 버크. 드래프트 전체 9순위로 유타에 입단하며 기대를 모았지만 3년이 지난 지금 그의 NBA 커리어는 아직 불안하다.

데뷔 후 세 시즌 연속 평균 두 자릿수 득점을 기록하며 나름대로 득점력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3년 동안 야투율이 38.4%에 머물 정도로 극심한 슈팅 기복을 보였다. 이처럼 공격에서 불안한 모습이 계속되자 유타는 버크를 벤치 자원으로 활용하기 시작했고, 지난 시즌버크는 유타 구단과 큰 갈등을 일으키며 결국 올여름 워싱턴으로 트레이드됐다. 과연 워싱턴에서 버크는 달라진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까?



마이클 카터-윌리엄스(11픽, 밀워키 벅스)

루키 시즌까지만 해도 마이클 카터-윌리엄스가 이 리스트에 이름을 올릴 줄은 몰랐다. 하지만 신인왕 수상자 카터-윌리엄스의 NBA 커리어는 흔들리고 있다. 198cm의 장신 가드 카터-윌리엄스는 데뷔 시즌에 트리플-더블만 2번 기록하며 큰 기대를 모았다. 수준급 게임 조립 능력에 좋은 패스 감각을 보여주며 필라델피아 가드진의 미래로 낙점됐다.

하지만 고질적인 슈팅 난조가 카터-윌리엄스의 가치를 떨어뜨렸다. 기본적으로 점프슛이 약한 데다, 돌파 이후의 마무리 능력도 형편없다 보니 효율적인 플레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결국 2014-15시즌 중 밀워키로 트레이드됐지만, 이후에도 카터-윌리엄스는 별다른 성장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올여름 밀워키가 메튜 델라베도바를 영입한 상황에서 카터-윌리엄스의 입지는 서서히 좁아질 예정. 카터-윌리엄스가 반전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


샤바즈 무하마드(14픽,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고교 시절 전미 최고의 선수로 기대를 모았던 무하마드. 하지만 NBA 입성 후 그의 명성은 점점 작아지고 있다. 냉정하게 무하마드의 현재 위치는 미네소타의 식스맨이다. 무하마드는 데뷔 이래 선발 출전한 경기가 13경기에 불과했고, 지난 시즌엔 82경기를 모두 벤치에서 나섰다.

물론 무하마드는 여전히 탁월한 공격 본능을 가진 유망주다. 지난 두 시즌 동안 모두 평균 두 자릿수 득점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기복이 심해 팀 공격을 안정적으로 이끄는 데는 한계가 있는 선수다. 2015-16시즌에는 이전 시즌 대비 3점슛 성공률이 10% 넘게 폭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잭 라빈, 앤드류 위긴스의 입지가 커지는 상황에서 무하마드는 다음 시즌에도 키 식스맨 역할을 부여받을 가능성이 높다. 이런 상황에서 무하메드가 성장세를 보이지 못한다면, 그의 미래는 더욱 불안해질 것이다.


 

빅터 올라디포는 뛰어난 수비력과 날카로운 돌파 등 다재다능함을 지녔지만, 불안정한 슈팅력으로 인해 지난 시즌 벤치 신세를 지기도 했다 ⓒ NBA 미디어 센트럴

 

# ‘이제 시작’ 곧 날아오를 선수들

빅터 올라디포(2픽,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데뷔 당시 기대치에 비하면 빌터 올라디포의 지난 3년은 만족스럽지 못했다. 매 시즌 평균 30분 이상 출전하며 기회를 보장받았지만, 고질적인 슈팅 불안으로 인한 공격 기복은 올라디포의 아킬레스건이었다. 소포모어 시즌부터는 엘프리드 페이튼과의 호흡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 시즌엔 식스맨으로 출전하는 경기도 많았다.

하지만 올여름 올라디포는 커리어에 큰 변화를 맞이했다. 서지 이바카와 맞트레이드되며 올랜도에서 오클라호마시티로 유니폼을 갈아입은 것이다. 오클라호마시티는 올라디포에 큰 기대를 걸고 있는 상황. 올라디포가 러셀 웨스트브룩과 함께 역동적인 백코트 콤비를 결성해주길 바라고 있다. 당연히 올라디포에겐 굉장히 중요한 기회다. 오클라호마시티에서 잠재력을 제대로 폭발시킨다면, 올라디포는 지난 3년의 실망감을 기대로 다시 바꿔놓을 수 있을 것이다.


오토 포터(3픽, 워싱턴 위저즈)

오토 포터는 데뷔 후 팀 내 입지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선수다. 루키 시즌은 출전 기회를 받는 것도 힘들었다. 하지만 2014-15시즌 평균 20분에 가까운 출전 시간을 기록하며 식스맨으로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였고, 지난 시즌은 대부분의 경기를 선발 출전하며 주전 스몰포워드로서의 입지를 굳혀가는 중이다.

포터의 가장 큰 장점은 포지션 활용도다. 203cm로 스몰포워드로서 좋은 사이즈를 갖춘 포터는 파워포워드로 선발 출전하는 경기가 꽤 있었을 정도로 스몰라인업에서 활용도가 높은 선수다. 지난 시즌에는 평균 11.6점에 30% 중반의 3점슛 성공률을 기록하면서 5.2개의 리바운드를 잡아내기도 했다. 신임 감독 스캇 브룩스 체제에서도 포터는 가치 있는 선수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디 젤러(4픽, 샬럿 호네츠)

코디 젤러는 드래프트 당시 수준급 잠재력을 갖춘 센터로 평가받았다. 백인임에도 탁월한 운동능력과 센스를 보여주면서 상당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데뷔 첫 2년 동안 젤러는 예상만큼 효율적이지 못했다. 빅맨임에도 야투율이 40%대에 머물렀을 정도로 불안한 시즌을 보냈다.

하지만 2015-16 시즌 샬럿이 보다 빠르고 공격적인 팀으로 변모하면서 젤러도 살아났다. 알 제퍼슨이 부상과 기량 하락으로 입지가 좁아진 가운데, 젤러는 데뷔 이래 가장 많은 선발 출전을 기록하며 전반적인 개인 기록이 함께 상승했다. 물론 젤러는 여전히 확고부동한 주전급 선수는 아니다. 하지만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기대를 가질 만하다.


알렉스 렌(5픽, 피닉스 선스)

루키 시즌은 알렉스 렌에게 악몽 그 자체였다. 렌은 드래프트 직후 발목 수술을 받으며 서머리그에도 나서지 못했으며, 정규시즌 초반에는 무릎 부상을 입으며 오랫동안 코트를 비웠다. 반복되는 부상 속에 렌은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할 기회조차 얻을 수 없었다. 결국 렌은 형편없는 성적으로 루키 시즌을 마무리했다.

다행히 이후 2년 동안 렌은 서서히 존재감을 높여가고 있다. 지난 시즌에는 평균 9,0점 7.6리바운드를 기록하며 수준급 센터로서의 성장 가능성을 드러냈다. 베테랑 타이슨 챈들러와 호흡을 맞추며 위력적인 트윈 타워를 구축하기도. 피닉스는 현재 데빈 부커, 드라간 벤더 등 다수의 유망주를 보유하며 자연스럽게 리빌딩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 렌이 지난 시즌 보여준 성장을 이어간다면 피닉스의 리빌딩은 그리 길어지지 않을 것이다.


널렌스 노엘(6픽,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널렌스 노엘은 2013 드래프트에서 6순위로 뽑힐 선수가 아니었다. 그러나 부상에 대한 우려로 인해 6순위까지 지명 순위가 내려갔고, 이후에는 무릎 수술 회복을 위해 루키 시즌을 완전히 포기했다.

지난 두 시즌 동안 노엘의 플레이는 나름 성공적이었다. 자릴 오카포의 합류로 공격 부담을 던 2015-16시즌에는 팀 수비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전반적인 개인 기록이 모두 상승했다. 마른 몸, 약한 상체 근력으로 인해 페인트존에서의 마무리 능력이 불안한 것은 약점으로 꼽힌다. 슈팅 거리도 굉장히 짧은 편이다. 하지만 리바운드, 스틸, 블록슛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며 자신의 장점을 잘 발휘했다. 새 시즌을 앞두고 노엘이 마지막 루키 시즌을 성공적으로 보낼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밀워키 구단은 차기 시즌 211cm의 아테토쿤포를 포인트가드로 기용하는 모험도 감수할 예정이다. 아테토쿤포가 지닌 재능의 한계가 궁금할 뿐이다 ⓒ 홍기훈 일러스트레이터

 

# ‘내가 제일 잘나가’ 어엿한 주축이 된 선수들

켄타비우스 칼드웰-포프(8픽, 디트로이트 피스톤스)

루키 시즌부터 철저하게 기회를 보장받은 켄타비우스 칼드웰-포프는 이제 어엿한 디트로이트의 주전 슈팅가드로 성장했다. 칼드웰-포프는 지난 두 시즌 동안 모든 경기를 선발 출전했으며, 지난 시즌에는 평균 14.5점 3.7리바운드를 기록하며 주전 자리를 굳히는 데 성공했다.

폭발적인 득점력에 탁월한 압박 수비 능력까지 갖춘 칼드웰-포프는 수준급의 공수 기량을 가진 선수로 리그에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최대 약점인 슈팅 기복을 줄이는 것은 향후 과제가 될 전망. 오는 시즌에도 칼드웰-포프는 레지 잭슨과 함께 주전 백코트 콤비를 이루며 디트로이트를 이끌 것이다.


C.J. 맥컬럼(10픽,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C.J. 맥컬럼은 2013 드래프티 중 현재까지 가장 큰 성공을 거둔 가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2014-15시즌부터 본격적으로 출전 기회를 얻은 맥컬럼은 짧은 출전 시간에도 높은 잠재력을 보이며 주목 받기 시작했다. 지난 시즌 포틀랜드에서는 모든 경기를 선발 출전하면서 평균 20.8점 3.2리바운드 4.3어시스트를 기록, 팀 내 2인자로 급부상했다.

맥컬럼은 올여름 4년 간 1억 달러가 넘는 초대형 연장 계약까지 맺은 상황이다. 오프시즌에는 웨이트 트레이닝과 수비 훈련에 공을 들이며 보다 안정적인 공수 밸런스를 갖추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한다. 맥컬럼이 데미안 릴라드와 함께 포틀랜드를 어디까지 이끌 수 있을지 궁금하다.



스티븐 아담스(12픽,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스티븐 아담스는 오클라호마시티 팬들이 가장 애지중지하는 빅맨이 아닐까 싶다. 데뷔 시즌부터 80경기 출전하며 코칭스태프로부터 전폭적인 지지를 받은 애덤스는 지난 시즌 최고의 공수 경기력을 보이며 오클라호마시티의 주전 센터 자리를 완전히 꿰찼다.

아담스는 팀 내 최고의 수비수인 동시에, 탁월한 페인트존 마무리 능력까지 갖췄다. 이 같은 애덤스의 장점은 지난 플레이오프에서 더욱 두드러졌던 바 있다. 동료 러셀 웨스트브룩은 “애덤스는 이미 올스타급 선수”라고 평가할 정도. 새 시즌 애덤스는 리그 최고 빅맨으로의 성장을 노리고 있다.


야니스 아테토쿤포(15픽, 밀워키 벅스)

2013 드래프트가 낳은 최고의 스타 플레이어는 역시 야니스 아테토쿤포다. 드래프트 당시 베일에 휩싸인 부분이 많아 15순위에서야 밀워키에 지명됐던 아테토쿤포. 3년이 지난 지금 그는 ‘Greek Freak’(그리스 괴물)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밀워키와 NBA를 대표하는 스타로 성장하고 있다.

그가 괴물로 불리는 이유가 있다. 케빈 듀란트를 연상케 하는 신장과 팔 길이에 파워 넘치고 역동적인 움직임을 가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탁월한 패스 감각과 평균 이상의 슛 터치까지 갖춘 아테토쿤포는 지난 시즌 평균 16.9점 7.7리바운드 4.3어시스트 1.2스틸 1.4블록슛을 기록하며 동부지구를 대표하는 젊은 포워드로 자리 잡았다. 이미 아테토쿤포에 대한 기대치는 하늘을 찌르는 수준이다. 향후 슈퍼스타로 성장할 잠재력까지 갖춘 최고의 유망주로 평가받고 있으니 말이다.


데니스 슈로더(17픽, 애틀랜타 호크스)

데니스 슈로더는 지난 2년 동안 뚜렷한 성장세를 보인 가드다. 루키 시즌까지만 해도 슈로더는 잠재력이 높은 유망주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소포모어 시즌부터 NBA에서 득점을 만드는 법을 터득한 슈로더는 빠른 시간 내에 애틀랜타의 핵심 선수로 성장했다.

슈로더는 데뷔 당시 약점으로 꼽혔던 슈팅 능력이 눈에 띄게 성장하며 위력적인 공격력을 갖췄다. 올여름에는 제프 티그가 인디애나로 트레이드되며 그토록 원하던 주전 자리까지 확보했다. 이제 슈로더에게 남은 것은 자신이 주전 포인트가드로 뛸 만한 선수인지 증명하는 것이다. 그래서 슈로더에게 오는 시즌은 굉장히 중요하다.


강하니 기자(cutehani93@gmail.com)
저작권자 ⓒ 루키.-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사진 제공 = NBA 미디어 센트럴
일러스트 제공 = 홍기훈 일러스트레이터(incob@naver.com)

루디 고베어(27픽, 유타 재즈)

‘그리스의 괴물’이 야니스 아테토쿤포라면, 루디 고베어는 ‘프랑스의 괴물’이라는 별명에 가장 잘 어울리는 선수일 것이다. 고베어는 이미 NBA에서 손꼽히는 수비형 센터로 성장했다. 드래프트 당시 제리 슬로언 구단 고문의 눈에 띄어 유타 유니폼을 입은 고베어는 2014-15시즌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며 유타의 주전 센터로 자리 잡았다. 당시 유타가 에네스 귈렌(前 에네스 칸터)을 과감히 트레이드할 수 있었던 것은 고베어의 성장세 때문이었다.

다만 무시무시한 리바운드, 블록슛 능력에 비해 공격력은 아쉬움이 남는다. 특히 2대2 상황에서 공을 잡은 이후 공을 간수하는 능력, 골밑에서 슈팅을 마무리하는 능력이 평균 이하다. 때문에 롤맨으로서 효율적인 컷인 공격을 전혀 펼치지 못하고 있다. 고베어가 더 가치 있는 선수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공격에서의 세밀한 기술을 다듬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강하니 기자(cutehani93@gmail.com)
저작권자 ⓒ 루키.-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사진 제공 = NBA 미디어 센트럴
일러스트 제공 = 홍기훈 일러스트레이터(incob@naver.com)

저작권자 © ROOKI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