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루키 = 안양, 김혁 기자] "방향성은 잡히긴 했는데..."
대한민국 남자농구 대표팀은 25일 안양 정관장 아레나에서 열린 연습경기에서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에 67-81로 패했다.
대표팀 사령탑 선임이 이뤄지지 않은 가운데 전희철 감독이 이번 중국과의 연전 임시 감독이라는 중책을 맡았다. KBL과 EASL을 오가며 바쁜 일정을 보낸 전 감독은 21일 소집 이후 대표팀을 지휘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봤을 때 상대인 중국은 한국보다 전력상 우위라고 바라보는 시선이 지배적이고 대표팀 선수들이 합을 맞출 시간도 길지 않다. 유기상, 최준용, 송교창이 부상으로 하차한 것도 뼈아프다.
대표팀 소집 이후 짧은 기간에 선수들과 손발을 맞췄지만 이날 경기에서는 호흡 면에서 크게 기대하기는 힘들었다. 외국 선수가 둘이 나란히 선발로 나선 정관장을 상대로 고전한 대표팀은 결국 완패를 기록했다.
전희철 감독은 경기 후 "선수들에게 처음부터 이번 경기는 스코어를 보지 말고 하자고 했다. 경기에 이기면 좋은데 이기는 것보다 우리가 연습했던 걸 계속 써보고 어떻게 멤버를 구성하느냐가 중요했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2쿼터에 3점슛을 계속 맞는데도 지역 방어를 고수했는데 이미 들어가기 전에 2쿼터 내내 풀로 지역 방어를 쓰겠다고 이야기했다. 연습하는 방향에서 선수들이 50% 정도는 지켜준 것 같다. 사실 연습을 3일밖에 못했기 때문에 연습한 것이 아니라 생각한 것에 50%라고 해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의외로 존 디펜스는 조금 더 다듬고 이해력이 좋은 선수들을 활용하면서 솔직히 뒷선 움직임이 중요한데 (하)윤기가 빠진 것도 컸다. 그래도 잘 걸려서 재미를 볼 수 있는 카드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선수들의 슛 밸런스가 전체적으로 좋지 못했다. 건진 건 현중이 쪽으로 스크린을 많이 걸고 슈팅 찬스를 내려고 3일 동안 많이 연습했는데 많이 성공하진 못했다. 동작 나오는 것에 있어서 연습은 했지만 실전에 들어가니 막상 팀에서 하던 습관들이 다 나오더라"고 짚었다.
결국 짧은 시간 안에 최대한 선수들의 플레이를 효과적으로 녹여내는 게 중요하다. 전 감독은 중국을 상대로 수비도 중요하지만 공격에서도 활발한 득점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감독은 "아시아컵과 다르게 로우 포스트에 볼을 집어넣고 1대1을 하는 게 아니라 재차 위로 올라오면서 파생되는 공격을 많이 준비했는데 4번 포지션 선수들이 연습을 하고도 스크린만 많이 올라오는 모습이 많이 나왔다. 아무리 수비를 다듬어도 이번 경기 같은 공격에 슈팅 밸런스면 이기기 쉽지 않다. 중국은 수비만 잘해서 이길 수 있는 팀이 절대 아니다. 무조건 80점 정도가 나와야 한다. 80점을 넣기 위해 공격 밸런스를 잡아야 한다. 중국은 KBL에서처럼 방패로만 때려서 이길 수 있는 팀이 아니라 우리가 넣어야 이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공격에서 부족한 점이 있었다. 트랜지션에서 미스가 많았고 아무래도 3일 만에 훈련이 되기가 쉽지 않는 부분이다. 그래도 발견한 부분이 있다. 이정현이 들어갔을 땐 오히려 간략하게 가려고 한다. 패스를 주면서 많이 움직이게 하면 장점이 줄어드는데 오히려 아예 넓혀서 본인의 능력을 더 살릴 수 있도록 하려고 한다"고 짚었다.
대표팀은 연습경기 바로 다음 날인 26일 중국으로 출국한다. 현실적으로 선수들끼리 호흡을 맞출 시간이 길지 않다.
전 감독은 "여러 가지가 방향성은 많이 잡혔다. 하지만 훈련 기간이 길지 않아서... 이해력이 빠른 선수들은 충분히 가능하긴 하다. 결국 단기간에 소집이 돼서 시합을 나가려면 이해력이 높고 BQ가 있는 선수들이 같이 플레이를 해줘야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생각도 들었다. 연습 때 주문한 플레이가 나오지 않았지만 3일밖에 훈련을 못 했는데 선수들에게 어떻게 화를 내나. 팀마다 패턴이나 방식이 다 다르다"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농구라는 게 한 명이 틀리면 5명이 뛰기 때문에 다 준비를 하고 있는 상횡이 깨진다. 그게 이번 경기에 자주 나왔고 그런 플레이만이 문제가 아니고 3일 동안 맞췄던 부분이 50% 정도 나온 것 같다. 선수들에게 이야기한 것도 상대가 이번 경기보다 더 클 것이고 능력도 좋을 것인데 이겨내야 한다고 했다"고 강조했다.
사진 = KBL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