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키=이동환 기자] 한국 기준으로 19일부터 2020-2021 NBA 플레이오프의 최종 대진을 가리기 위한 일정이 시작한다. 바로 플레이-인 토너먼트(Play-In Tournament)다.
지난해 버블 시즌에 처음 도입된 플레이-인 토너먼트는 올 시즌부터 각 컨퍼런스별로 2개 팀에서 4개 팀이 참여하는 것으로 확대 실시된다.
올해 플레이-인 토너먼트에는 보스턴, 워싱턴, 인디애나, 샬럿(이상 동부)과 레이커스, 골든스테이트, 멤피스, 샌안토니오가 참가한다. 19일에는 보스턴-워싱턴, 인디애나-샬럿의 경기가, 20일에는 레이커스-골든스테이트, 멤피스-샌안토니오의 경기가 먼저 열린다.
지금부터 플레이-인 토너먼트 각 경기를 미리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첫 번째 경기는 인디애나와 샬럿의 경기다.

*경기 개요*
맞대결 팀: 인디애나 페이서스(동부 9위) vs 샬럿 호네츠(동부 10위)
일시: 5월 19일 오전 7시 30분(한국 시간)
장소: 인디애나 뱅커스 라이프 필드하우스
정규시즌 맞대결 성적: 2승 1패 샬럿 우위(인디애나 승, 샬럿 승, 샬럿 승)
*주요 결장 확정 선수*
인디애나: 마일스 터너, T.J. 워렌, 제레미 램
샬럿: 고든 헤이워드, 코디 마틴

뼈아픈 결장 변수, 최근 경기력은 샬럿
9위 인디애나와 10위 샬럿의 맞대결은 결장 변수가 유독 많은 경기다.
인디애나는 발가락 부상으로 무기한 아웃된 마일스 터너를 비롯해 제레미 램, T.J, 워렌이 모두 결장한다. 도만타스 사보니스(허벅지), 말콜 브록던(햄스트링)의 경우 경기 출전에는 문제가 없지만 부상을 안고 있어 컨디션이 어떨지 불확실하다. 애런 할러데이(발가락), 에드먼드 섬너(무릎) 역시 마찬가지다.
샬럿 역시 뼈아픈 결장 소식이 있다. 오른발 부상으로 4월 초부터 한 달 넘게 결장 중인 고든 헤이워드가 이 경기도 뛰지 못한다. 헤이워드는 현재 풀-컨택트(full-contact) 훈련도 허가되지 않은 상태이고 플레이-인 토너먼트는 아예 뛰지 못하는 것이 확정됐다. 코디 마틴도 부상으로 결장한다.
10위로 플레이-인 토너먼트를 치르지만 사실 최근 경기력은 샬럿이 인디애나에 비해 좀 더 낫다. 정규시즌을 5연패로 마감했음에도 샬럿의 정규시즌 마지막 2경기(뉴욕, 워싱턴) 경기력은 상당히 좋았다. 마일스 브릿지스가 돌아면서 특유의 스몰라인업의 힘이 살아난 덕분이다. 가드진에서는 디본테 그래험도 2경기에서 20개의 3점을 던져 8개를 성공하는 준수한 3점슛 감각을 과시했다.
인디애나는 카리스 르버트에 기대를 걸어볼 만하다. 5월 9경기에서 평균 24.8점 4.9리바운드 7.4어시스트 야투율 44.2% 3점슛 성공률 40.0%(성공 2.2개)를 기록하며 인디애나를 5승 4패로 이끈 르버트다. 백코트 파트너인 말콤 브록던이 정상 출전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브록던-르버트-T.J. 맥코넬-애런 할러데이 등으로 이어지는 인디애나의 백코트진이 좋은 경기력을 보인다면 인디애나가 홈 이점을 앞세워 승리를 챙길 가능성도 충분하다.

스몰라인업 맞대결, 격전지는 페인트존?
두 팀 모두 이 경기에서 스몰라인업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샬럿의 경우 시즌 중반부터 마일스 브릿지스와 P.J. 워싱턴을 각각 파워포워드와 센터로 기용하는 스몰라인업을 통해 상당한 재미를 봐왔다. 공수에서 에너지 넘지는 허슬 플레이어인 브릿지스와 뛰어난 슈팅력을 가진 워싱턴이 빅맨 포지션을 책임져주면서 공격에서는 코트를 넓게 쓰고 수비에서는 활동량이 확보되는 이점을 누렸다. 물론 코디 젤러, 비스맥 비욤보도 적절히 활용하지만, 샬럿이 상승세를 탈 때의 라인업은 브릿지스와 워싱턴이 함께 빅맨진을 책임질 때인 경우가 많았다.
인디애나는 마일스 터너가 발가락 부상으로 아웃된 이후 울며 겨자먹기로 라인업의 사이즈를 낮춰왔던 팀이다. 최근에는 도만타스 사보니스가 센터를 보고 오셰 브리셋, 덕 맥더멋, 저스틴 할러데이, 켈란 마틴 등 포워드들을 주변에 배치하는 4-아웃 형태의 라인업을 많이 썼는데, 사보니스의 수비력이 가뜩이나 불안한 상황에서 사이즈까지 작으니 아무래도 페인트존 수비가 너무 약할 수밖에 없었다.
NBA.com에 따르면 인디애나는 경기당 페인트존 득점과 페인트존 실점이 모두 손에 꼽힐 정도로 많은 팀이었다. 페인트존 득점은 54.0점으로 리그에서 세 번째로 많았고, 페인트존 실점은 53.8점으로 리그에서 가장 많았다.
때문에 샬럿 입장에서는 인디애나의 페인트존을 집중 공략하면 경기를 풀어가기 한층 수월할 것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샬럿은 페인트존 공격력이 그리 좋지 않다. 코디 젤러, 비스맥 비욤보의 페인트존 득점 생산 자체가 너무 적은 데다, 퍼리미터 공격수들도 돌파 후 킥아웃 패스에 보다 무게를 두고 공격을 펼치기 때문이다.
실제로 올 시즌 샬럿의 페인트존 평균 득점은 리그 20위(45.9점)에 불과했다. 때문에 중요한 격전지가 페인트존으로 뻔하게 정해져 있음에도 정작 이 경기의 승부가 갈리는 지점은 페인트존이 아닌 지역이 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누가 터질 것인가? 외곽 봉쇄법 이슈?
인디애나와 샬럿 모두 외곽 폭발력을 기대할 수 있는 선수가 꽤 포진해 있다. 인디애나는 말콤 브록던, 카리스 르버트. 덕 맥더멋, 저스틴 할러데이 등에게, 샬럿은 라멜로 볼, 테리 로지어, 디본테 그래험, 말릭 몽크 등에게 기대를 걸어볼 수 있다.
너무 뻔한 이야기일지도 모르겠지만, 결국 핵심 퍼리미터 공격수들의 그날 슛 감각에 의해 승부가 결정될 가능성도 충분하다. 특히 샬럿은 경기당 평균 3점슛 시도가 리그에서 9번째로 많은 팀이기에 3점슛 감각이 상당히 중요하다. 인디애나는 브록던, 르버트, 맥더멋의 3점 감각이 좋을 경우 경기를 풀어가기 훨씬 수월해질 수 있다. 페인트존 득점력이 리그 최고 수준이기 때문이다.
샬럿은 외곽 화력 극대화를 위해 가드 3명을 동시에 코트에 세우는 쓰리 가드 라인업을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리그에서 핸드오프 공격 빈도가 2번째로 높은 인디애나는(7.5%) 사보니스가 엘보우 지역과 3점슛 라인 안팎을 오가면서 가드들과의 핸드오프 패스에 이은 2대2 연계 플레이를 펼치면서 게임을 풀어갈 것이다.
때문에 인디애나 입장에서는 샬럿의 쓰리 가드 라인업 봉쇄를 위해 가드 기용 숫자를 일시적으로 늘려볼 여지가 있고, 샬럿은 사보니스의 손에서 시작되는 인디애나의 핸드오프 2대2 연계 플레이를 막기 위해 헷지 앤 리커버를 비롯한 다양한 2대2 수비법을 활용해볼 수 있다. 인디애나는 5명이 모두 3점슛을 던질 수 있는 샬럿의 쓰리 가드 스몰라인업을 막기 위해 사보니스, 고가 비타제 같은 빅맨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움직여주느냐가 중요하고, 샬럿은 퍼러미터 수비수들이 핸드오프 패스와 동시에 세팅되는 사보니스의 스크린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대처하느냐가 중요하다.
이 경기에서 패한 팀은 그대로 시즌을 마감한다. 반면 승리 팀은 7위 보스턴, 8위 워싱턴의 맞대결에서 패한 팀과 8번 시드를 놓고 마지막 맞대결을 펼칠 기회가 주어진다. 절대 물러날 수 없는 경기다. 단 한 경기로 운명이 달리는 단판 승부에서 양 팀 감독이 어떤 기습적인 전술 카드를 꺼내들지도 궁금하다. 인디애나의 네이트 비요크렌 감독, 샬럿의 제임스 보레고 감독 모두 감독으로서는 처음 치르는 단기전 승부이기에 두 감독의 전략 대결도 흥미로운 대목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진 = 로이터/뉴스1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