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키] 염용근 기자 = NBA 2013-14시즌이 샌안토니오 스퍼스의 우승을 끝으로 공식 일정을 마감했다. FA 시장이 열리는 시점은 7월 1일. 아직 본격적인 오프 시즌이 시작된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30개 구단에게 휴식 시간은 없다. 프랜차이즈의 10년 농사를 좌우하는 신인 드래프트가 6월 27일(이하 한국시간 기준) 개최되기 때문. 특히 올해 드래프트는 지난 2003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TOP 3’를 형성한 앤드류 위긴스, 조엘 엠비드, 자바리 파커 등이 어떤 팀의 지명을 받을지 여부가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드래프트 1~3순위 지명권을 보유한 팀은 각각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1순위), 밀워키 벅스(2순위),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3순위). 지난 시즌 고난을 참아가며 고의적인 탱킹 레이스를 펼친 소득이 있었다. 물론 드래프트 추첨 신(神)의 가호를 받고 있는 클리블랜드의 경우 플레이오프 진출을 위해 노력했던 팀이다. 1~3순위 지명권을 거머쥔 팀들의 선택은 어떻게 될까? 또한 ‘TOP 3’로 평가받는 선수들이 3순위 지명 밑으로 추락할지 여부도 큰 관심사다.

특히 20일, 엠비드가 오른쪽 발의 피로골절로 인해 수술을 받게 되었다. 야오 밍(前 휴스턴 로케츠)의 커리어를 단축시켰던 피로골절은 재발 위험이 높은 편이다. 상위권 픽을 소유한 팀들의 지명 전략에 큰 변화가 발생할 전망. 특히 밀워키의 경우 클리블랜드의 선택에 따라 위긴스-엠비드를 지명하겠다는 계획에 차질을 빚게 되었다.

『루키』와 함께하는 드래프트 분석 두 번째 팀은 2순위 지명권을 보유한 밀워키다.

밀워키 벅스(2014 드래프트 전체 2순위 지명권)

지난 5년간 드래프트 지명자
2009년 ? 브랜드 제닝스(1라운드 10순위/가드), 조디 믹스(2라운드 41순위/가드)
2010년 ? 래리 샌더스(1라운드 15순위/센터)
2011년 ? 짐머 프레뎃(1라운드 10순위/가드), 존 루어(2라운드 40순위/포워드)
2012년 ? 존 핸슨(1라운드 14순위/포워드-센터)
2013년 ? 지아니스 아데토쿤보(1라운드 15순위/포워드)

밀워키는 기본적으로 탱킹을 시도하는 구단이 아니었다. 비록 지난 시즌 리그 최하위에 그쳤지만 주축 선수들의 부상으로 인한 어쩔 수 없는 결과였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지난 시즌을 제외할 경우 모두 4할 이상 승률을 기록했으며 플레이오프에도 두 차례 진출했다. 전(前) 구단주 허브 콜은 먼 미래보다는 당장의 수입을 위해 어느 정도 성적을 유지하길 원했다.

그 결과, 최근 5년간 드래프트 최상위권 픽을 보유한 경우는 없었다. 꾸준하게 1라운드 중위권 이상의 픽을 행사했지만 평가는 반타작 정도였다. 지난 2005년 앤드류 보것(現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를 지명한 후 대박을 친 경우는 없다.

우선 2008년에 지명한 제닝스는 나름 성공한 픽이었다. 기대만큼 성장해주지는 못했지만 팀의 주전포인트가드로서 수년간 활약했다. 작년 오프시즌에는 디트로이트 피스톤스와의 사인&트레이드를 통해 브랜든 나이트, 크리스 미들턴 등 선물을 주고 떠났다. 이래저래 고마운 존재인 셈이다.

2009년에 지명했던 샌더스는 팀의 주축 센터로 자리 잡았다. 수비에서의 능력이 대단히 뛰어나다. 단, 지난 시즌 장기 계약 후 부상 이슈와 멘탈 문제 등으로 인해 많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2010년 지명자인 프레뎃은 드래프트 당일 트레이드되었다. 트레이드 핵심 칩 중 하나였던 토바이어스 해리스는 이후 J.J. 레딕 트레이드 당시 사용되었다. 레딕은 짧은 활약 후 FA 자격을 얻어 팀을 떠났다.

2012년, 2013년에는 프로젝트성 유망주들인 헨슨과 아데토쿤보를 지명했다. 문제는 재능과 성장 가능성에 집중한 탓에 기본 자원들과의 중복 문제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밀워키의 현재 로스터를 살펴보면 각 포지션별 중복이 심한 편. 특히 빅맨 라인업은 반드시 교통정리를 해줘야 한다.

2014-15시즌 팀 잔류가 확정된 주축 선수들
*오프 시즌 트레이드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포인트가드 ? 브랜든 나이트
슈팅가드 ? O.J. 메이요
스몰포워드 ? 지아니스 아데토쿤보, 카를로스 델피뇨
파워포워드 ? 얼산 일야소바, 존 헨슨
센터 ? 래리 샌더스, 자자 파출리아

팀 옵션 보유 또는 FA가 되는 주축 선수들
라몬 세션스(포인트가드/FA), 엑페 우도(파워포워드/퀄리파잉 오퍼),
제프 애드리언(파워포워드/FA), 크리스 미들턴(스몰포워드/팀 옵션),
네이트 월터스(포인트가드/FA)

드래프트 데이 전에 교통정리부터 확실하게 해야 한다. 우선 FA 또는 옵션 활용 여부가 필요한 선수 중 지난 시즌 가능성은 선보인 미들턴, 월터스는 차기 시즌에서도 함께할 가능성이 높다. 어차피 연봉이 부담되는 수준은 아니다. 우도의 경우 FA로 풀어줄 가능성이 높으며 애드리언은 드래프트에서 어떤 포지션을 지명할지 여부에 따라 팀과의 인연이 결정될 전망이다. 세션스는 2년 정도 계약이면 팀과 본인 모두 만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 나이트가 풀타임 포인트가드로서 증명한 것이 없기 때문에 베테랑 세션스의 존재가 필요하다.

가장 큰 문제는 빅맨 라인업. 장기계약자인 샌더스, 출전시간이 필요한 헨슨, 라커룸 리더이자 노련한 베테랑 파출리아, 팀 내 유일한 스트레치형 빅맨 일야소바 등 고만고만한 자원이 많다. 엠비드를 지명할 경우 샌더스가 트레이드 될 가능성이 높았던 이유도 빅맨 라인업이 두터웠기 때문. 그나마 엠비드가 수술로 인해 주가가 폭락하면서 어느 정도 걱정(?)을 덜었다. 여전히 중복자원이 마음에 걸리지만 샌더스&일야소바, 헨슨&일야소바 등의 라인업을 통해 출전시간을 나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만약 적절한 구매자가 있다면 가장 덩어리가 큰 샌더스를 트레이드시키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 헨슨은 지난 시즌 활약을 통해 샌더스를 대체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일뱌소바의 경우 부진한 활약으로 인해 트레이드 가치가 너무 떨어졌다. 시장에 내놓는 것은 어느 정도 가치를 회복한 후가 될 것이다.

위긴스와 파커가 지명을 기다리고 있는 3번 포지션 역시 복잡하다. 부상에서 돌아오는 델피뇨, 지난 시즌 가능성을 선보인 미들턴, 여기에 어쩌면 현재 리그에서 가장 잠재력이 큰 아데토쿤보가 버티고 있다. 아데토쿤보의 경우 지난 시즌 슈팅 가드로 뛰기도 했지만 신장과 수비 등을 고려하면 3번 포지션이 제격.(오클라호마시티 썬더의 케빈 듀란트도 데뷔 시즌에는 2번 포지션에서 뛰었다) 클리블랜드가 엠비드 대신 위긴스를 지명할 경우 파커가 남게 되는 상황. 파커를 지명한다면 아데토쿤보와의 조합이 흥미를 끌게 된다. 공격력이 탁월한 파커와 다재다능하지만 공격 스킬이 부족한 아데토쿤보는 좋은 파트너가 될 수 있다. 스몰라인업에서 아데토쿤보가 4번-파커가 3번으로 뛸 수도 있을 전망. 단,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빅맨 라인업의 교통정리가 동반되어야 한다. 델피뇨와 미들턴은 식스맨 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가드 포지션은 엠비드 유탄으로 인해 요동치고 있다. 밀워키 프런트가 3~4번 라인업을 포화상태라고 판단해 파커를 지나칠 경우 포인트가드 단테 액섬이 대안으로 떠오를 수 있다. 액섬은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며 사이즈가 준수하다. 나이트가 포인트가드의 본업인 리딩에서 약점을 노출한 점을 감안하면 폭발적인 공격력을 살리기 위해 슈팅가드로 포지션을 변경할 수도 있는 상황. 액섬이 나이트에게 부족한 리딩과 수비에서 도움을 줄 수 있다. 베테랑 세션스의 경우 재계약 후 식스맨으로 활용하면 된다.

예상 지명자 ? 자바리 파커, 단테 액섬

오프시즌 전망
우선 특급 FA 영입 가능성은 없다. 페이롤에 여유가 있는 편이지만 리빌딩을 통해 어린 선수들을 성장시키는 노선을 선택했다. 래리 드류 감독 역시 다양한 라인업 운영과 멘토 역할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리빌딩형 감독. 우선 파커를 지명할 경우 1가드-3포워드-1센터 라인업을 활용할 전망이다. 아데토쿤보와 파커에게 동시에 출전시간을 나눠줘야 한다. 드류가 고정 라인업을 선호하는 감독이 아니라는 점도 해당 라인업에 힘을 실어준다.

파커 지명시 2014-15시즌 예상 주전 라인업
샌더스-일야소바(헨슨)-파커-아데토쿤보(미들턴,메이요)-나이트
*파커와 나이트를 제외하면 평균 32분 이상 출전시간을 기록하는 주전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액섬을 지명할 경우 어떻게든 메이요를 처분하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예상된다.(물론 어려운 미션이다) 액섬을 포인트가드, 나이트를 슈팅가드로 세운 후 자연스럽게 아데토쿤보를 3번으로 돌릴 수 있는 라인업. 기동력이 좋은 헨슨을 센터로 기용해 속공 위주의 빠른 팀으로 탈바꿈할 수도 있다.(드류 감독의 성향과는 맞지 않지만)

액섬 지명시 2014-15시즌 예상 주전 라인업
핸슨-일야소바-아데토쿤보-나이트-액섬

밀워키는 드래프트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프로젝트형 선수를 선호해왔다. ‘TOP 4’로 평가받는 선수들을 지나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엠비드 폭탄’은 필라델피아를 포함한 아래 순번 팀들에게 전달될 것으로 예상된다.

염용근 기자(shemagic2@naver.com)
저작권자 ⓒ 루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ROOKI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