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키] 염용근 기자 = NBA 2013-14시즌이 샌안토니오 스퍼스의 우승을 끝으로 공식 일정을 마감했다. FA 시장이 열리는 시점은 7월 1일. 아직 본격적인 오프 시즌이 시작된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30개 구단에게 휴식 시간은 없다. 프랜차이즈의 10년 농사를 좌우하는 신인 드래프트가 6월 27일(이하 한국시간 기준) 개최되기 때문. 특히 올해 드래프트는 지난 2003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TOP 3’를 형성한 앤드류 위긴스, 조엘 엠비드, 자바리 파커 등이 어떤 팀의 지명을 받을지 여부가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드래프트 1~3순위 지명권을 보유한 팀은 각각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1순위), 밀워키 벅스(2순위),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3순위). 지난 시즌 고난을 참아가며 고의적인 탱킹 레이스를 펼친 소득이 있었다. 물론 드래프트 추첨 신(神)의 가호를 받고 있는 클리블랜드의 경우 플레이오프 진출을 위해 노력했던 팀이다. 1~3순위 지명권을 거머쥔 팀들의 선택은 어떻게 될까? 또한 ‘TOP 3’로 평가받는 선수들이 3순위 지명 밑으로 추락할지 여부도 큰 관심사다.

『루키』와 함께하는 드래프트 분석 첫 번째 팀은 1순위 지명권을 보유한 클리블랜드다.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2014 드래프트 전체 1순위 지명권)

지난 5년간 드래프트 지명자
2008년 ? J.J. 힉슨(1라운드 19순위/포워드)
2009년 ? 크리스티안 아엔가(1라운드 30순위/포워드), 대니 그린(2라운드 46순위/가드)
2011년 ? 카이리 어빙(1라운드 1순위/가드), 트리스탄 톰슨(1라운드 4순위/포워드)
2012년 ? 디온 웨이터스(1라운드 4순위/가드), 자레드 커닝햄(1라운드 24순위/가드)
2013년 ? 앤써니 베넷(1라운드 1순위/포워드), 세르게이 카라세프(1라운드 19순위/포워드)

지난 4년간 세 차례나 전체 1순위 지명권을 거머쥔 행운의 팀. 드래프트 전략은 최고의 선수보다는 팀에 필요한 선수를 지명하는 성향이 강했다. 우선 2008년 1라운드에서 지명한 힉슨의 경우 나름 성공한 픽이라는 평가. 준수한 커리어를 이어가고 있다. 르브론 제임스가 떠난 후 강제 탱킹을 통해 얻은 2011년 1라운드 지명권으로는 어빙을 지명했다. 흥미로운 사실은 당시 어빙 지명권이 L.A. 클리퍼스의 고액연봉자 배런 데이비스를 처리해주면서 받은 것이라는 부문. 트레이드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현재 클리퍼스의 주전 포인트가드는 어빙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2011년 4번 픽. 이때부터 클리블랜드 특유의 ‘마이 웨이’ 지명이 시작되었다. 포워드 자원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었지만 요나스 발렌시우나스, 클레이 톰슨, 카와이 레너드 예상 지명 순위가 높은 자원들을 지나쳤다. 트리스탄 톰슨은 현재 더블-더블이 가능한 빅맨으로 성장했지만 리더 어빙과 전혀 시너지가 없다. 기동력이 부족하고, 중거리 점프슛 능력과 2:2 수비가 부족한 관계로 최근 NBA 전술 흐름과도 맞지 않는 빅맨으로 평가받는다. 만약 레너드를 지명했다면 르브론 시절 이후 고질적인 문제점이었던 3번 문제를 한 방에 해결할 수 있었다.(클리블랜드가 레너드를 현재 위치까지 성장시킬 수 있었는지 여부는 확신할 수 없지만)

2012년 드래프트에서도 파격적인 행보를 이어갔다. 웨이터스는 폭발적인 득점력을 소유한 슈터인 반면 반드시 공을 손에 쥐어줘야 하는 선수. 어빙과는 궁합이 좋지 않다. 실제로 지난 시즌 불화설이 발생했으며 팀에 복귀한 후에는 주로 식스맨으로 출전했다. 식스맨으로서의 활약은 나쁘지 않았지만 결코 어빙의 백코트 파트너는 될 수 없었다. 후순위로 지명된 선수로는 터렌스 로스, 안드레 드루먼드 등이 있다. 특히 로스의 경우 어빙에게 부족한 수비와 오프 더 볼 무브를 책임질 수 있는 자원이다.

2013년 전체 1순위 지명자인 배넷은 분명 실패한 드래프티다. 단, 필요 이상으로 비난을 받고 있다. 마땅히 지명할 자원이 없었기 때문. 어빙이 있는 팀에 빅터 올라디포, 마이클 카터-윌리엄스 등을 지명할 수는 없었다. 벤 맥클레모어, 오터 포터 등도 웨이터스와 포지션이 겹친다. 너렌스 노엘의 경우 시즌 아웃 당한 빅맨이라 지명하기 힘들었고, 실제로 6순위까지 밀렸다.

2014-15시즌 팀 잔류가 확정된 주축 선수들
*오프 시즌 트레이드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포인트가드 ? 카이리 어빙, 재럿 잭
슈팅가드 ? 디온 웨이터스
스몰포워드 ? X
파워포워드 ? 앤써니 배넷, 트리스탄 톰슨
센터 ? 타일러 젤러

팀 옵션 보유 또는 FA가 되는 주축 선수들
안드레손 바레장(센터-포워드/팀 옵션), 스펜서 허즈(센터/FA), 루올 뎅(스몰포워드/FA)
알론조 지(스몰포워드/팀 옵션), C.J. 마일스(슈팅가드-스몰포워드/FA)

우선 가드 포지션은 궁합을 논외로 치면 딱히 필요가 없다. 어빙-잭-웨이터스 3명의 선수는 각각 주전과 벤치로 출전하고 있으며 시즌 말미에는 3명을 동시에 코트에 세우는 전술까지 선보였다.

가장 필요한 포지션은 스몰포워드. 르브론이 떠난 후 늘 구멍이었다. 알론조 지를 대체하기 위해 트레이드로 영입했던 뎅은 팀을 떠날 것으로 예상된다. 마침 드래프트 ‘TOP 3’ 중 위긴스와 파커가 스몰포워드 자원이다.

일단 위긴스는 이번 드래프트에 참가한 선수 중 최고의 신체조건과 잠재력을 갖췄다는 평가. 대학 시절 팀 동료였던 엠비드의 주가가 급상승한 탓에 상대적으로 위긴스의 평가가 떨어졌지만 여전히 최고의 재능 중 하나다. 단, 공격력에 있어 문제점을 노출했으며 슈퍼스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 파커의 경우 올해 드래프트 후보들 중 가장 잘 다듬어진 공격력을 자랑한다. 반면 수비에 문제점이 있으며 성장 가능성 측면에서 위긴스, 엠비드에 비해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당장 성적을 내길 원하는 댄 길버트 구단주의 성향상 위긴스보다는 파커가 탐나는 것이 사실. 지난 3년간 상위권 픽을 누구에게 행사했는지 여부를 살펴보면 잘 알 수 있다. 그나마 현지 언론을 통해 알려진 바로는 올해만큼은 최고의 재능을 지명하겠다고 공언한 상태. 아무래도 성장 가능성이 더 높은 위긴스 쪽으로 무게중심이 실린다.

변수는 엠비드. 허즈, 바레장 등과 모두 재계약을 포기할 경우 센터 자원이 전무해진다. 젤러가 있지만 클리블랜드 팬들은 더 이상 그가 페인트존에서 허우적거리는 모습을 보고 싶지 않을 것이다. 엠비드는 전설적인 센터인 하킴 올라주원과 비교되고 있으며 탁월한 신체조건을 자랑한다. 빠르게 기량이 발전하고 있는 부문도 매력적이다. 비슷한 재능이라면 일단 빅맨을 지명하는 것이 드래프트 데이의 진리.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위긴스의 주가가 떨어진 것도 엠비드의 지명 가능성을 높여준다. 단, 부상 이슈가 있으며 ‘빌 러셀의 재림’이라고 칭송받았던 그렉 오든이 부상으로 인해 몰락했던 사례가 있다. 이는 클리블랜드의 지명권 행사를 조심스럽게 할 것이다.

예상 지명자 ? 앤드류 위긴스, 조엘 엠비드

오프시즌 전망
어떤 선수를 지명할지 여부에 따라 오프시즌 전략이 갈릴 전망. 두 선수의 포지션이 다르기 때문이다. 우선 엠비드를 지명할 경우 허즈는 FA가 될 것이다. 바레장의 경우 연봉이 비교적 저렴한 관계로 팀 옵션을 행사할 수도 있다. 바레장까지 포기하면서 팀 페이롤을 비울 경우 르브론(?!)을 포함한 특급 FA 영입에 나설 수도 있다. 물론 특급 FA가 클리블랜드에 올 가능성이 낮은 점을 감안하면 뎅과의 재계약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엠비드 지명시 2014-15시즌 예상 주전 라인업
엠비드-바레장(톰슨)-뎅(FA)-웨이터스(잭)-어빙

위긴스를 지명한다면 뎅과 재계약할 이유가 없다. 르브론, 앤써니 등과도 포지션이 겹치기 때문에 특급 FA 영입 역시 포기할 가능성이 높다. 케빈 러브 트레이드라는 변수가 남아 있지만 위닝 팀을 원하는 그가 클리블랜드를 선택할 일은 없을 것이다. 코트를 좀 더 넓게 활용하기 위해 허즈와 재계약 후 톰슨을 트레이드하는 것도 고려할만 하다. 웨이터스도 대가를 제대로 받을 수 있다면 트레이드시킬 수 있다.

위긴스 지명시 2014-15시즌 예상 주전 라인업
허즈-바레장-위긴스-웨이터스(FA)-어빙

가장 큰 충격은 클리블랜드가 ‘TOP 3’를 지나치는 선택을 할 경우다. 4~5번 픽을 소유한 올랜도 매직, 유타 재즈 등은 쾌재를 부르겠지만 홈팬들은 멘탈 붕괴를 겪을 전망. 웬만하면 엠비드 또는 위긴스 지명으로 2014 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을 마무리 지을 것으로 예상된다.

염용근 기자(shemagic2@naver.com)
저작권자 ⓒ 루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ROOKI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