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키] 염용근 기자 = 스포츠 선수가 긴 커리어를 가져감에 있어 언제나 꾸준한 기량을 선보이기는 쉽지 않다. 자신에게 맞지 않는 팀 전술로 인해 고전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부상과 새로운 시도의 실패, 동료들과의 마찰 등 여러 가지 변수가 존재한다.

세계 최고 농구 선수들의 집합소인 NBA 리그라고 해서 크게 다르지 않다.  올스타급 기량을 가진 선수라 할지라도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다양한 변수들로 인해 일시적인 부진을 겪는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

물론 르브론 제임스, 케빈 듀란트, 크리스 폴 등 데뷔 이래 늘 꾸준한 기량을 과시하고 있는 선수들도 있다. 하지만 그들은 이미 시대를 지배하는 ‘레전드급’ 반열을 향해 전진하고 있는 케이스다. 모든 선수가 빌 러셀, 카림 압둘-자바, 매직 존슨, 마이클 조던처럼 시대의 ‘아이콘’(Icon)이 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지난 시즌의 부진을 딛고 2013-14시즌 반등에 성공한 인간적인(?) 선수들을 살펴보자. 리그에서 잔뼈가 굵은 베테랑 선수들을 기준으로 잡았으며 아직 정상궤도에 진입하는데 시간이 필요한 신인급 선수들은 제외했다.

카일 라우리(토론토 랩터스/8년차)
2012-13시즌  평균 29.7분 출전 11.6득점 6.4어시스트 FG 40.1% 3P 36.2%
2013-14시즌  평균 36.5분 출전 17.6득점 7.7어시스트 FG 42.1% 3P 38.5%

라우리의 커리어는 대체로 불운했다. 시작부터 꼬였다. 데뷔 팀인 멤피스 그리즐리스에서 어느 정도 가능성을 선보였지만 이미 마이클 콘리가 미래로 낙점 받은 상황이었다. 2번째 팀인 휴스턴 로케츠에서는 기회를 잡는 시점에 부상으로 자리를 비운 사이 고란 드라기치, 애런 브룩스 등이 치고 나온 탓에 입지가 좁아졌다. 지난 시즌 토론토 랩터스에서도 전반기에 호세 칼데론에게 출전시간을 잠식당했고, 후반기에는 부상으로 고전을 면치 못했다. 가진 기량을 출중했던 반면 포지션 경쟁자, 부상 등의 변수 때문에 꽃을 피우지 못한 케이스였다.

이번 시즌에도 시작은 썩 개운치 못했다. 마사이 유지리 신임 단장이 대대적인 리빌딩을 천명하면서 그 역시 팀에서의 미래를 100% 보장받지 못했다. 시즌 중반까지 트레이드 루머에 시달린 이유다. 그러나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플레이에만 집중한 결과, 올스타 레벨의 활약을 선보이며 데뷔 이래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다. 3월 성적의 경우 평균 21.0득점 6.1리바운드 7.7어시스트 경기당 2.8개의 3점슛으로 특급 포인트가드들과 비교해 전혀 꿀리지 않는다. 라우리의 맹활약덕분에 소속 팀 토론토도 현재 시즌 40승 31패 승률 56.3%를 기록, 동부 컨퍼런스 플레이오프 홈 어드벤테이지를 노릴 수 있게 되었다.

데론 윌리엄스(브루클린 네츠/9년차)
2012-13시즌  평균 36.4분 출전 18.9득점 7.7어시스트 FG 44.0% 3P 37.8%
2013-14시즌  평균 32.3분 출전 14.8득점 6.3어시스트 FG 46.1% 3P 37.8%

윌리엄스는 유타 재즈 시절까지만 하더라도 크리스 폴과 리그 no.1 자리를 놓고 다투던 특급 포인트가드였다. 반면 브루클린 이적 후에는 *자신에게 맞지 않는 전술, 발목, 어깨 등 각종 부상으로 인해 2류 포인트가드로 전락하고 만다. 지난 시즌 78경기에 소화했지만 부상을 달고 무리하게 출전한 것으로 실제 경기 내용에서 전혀 팬들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다. 브루클린이 ‘고비용 저효율’ 팀이라는 비난을 받는 중심에 그가 있었다.
*유타 시절에는 제리 슬로언의 톱니바퀴 같은 모션 오펜스 전술 하에서 뛰며 주가를 높인 반면 브루클린에서는 제대로 된 스크린을 걸어주는 빅맨조차 없었다. 물론 성적 하락의 주된 원인은 부상이었지만.

이번 시즌 전체 성적을 살펴보면 분명 반등이라고 평가하기 힘들다. 또한 1월까지는 부상으로 인해 일정하게 경기를 소화하지도 못했다. 슬슬 이웃 라이벌 뉴욕 닉스의 아마레 스타더마이어의 먹튀 전철을 밟는다는 불안감이 엄습하는 찰나, 그는 드디어 반전의 계기를 마련했다. 부상이 어느 정도 회복되면서 출전시간이 대폭 증가했고, 좋았던 시절의 감각을 회복하고 있다. 3월 성적의 경우 평균 35.8분 출전에 17.5득점 5.8어시스트 야투 성공률 48.0% 3점슛 성공률 41.0%로 바로 우리가 알던 윌리엄스의 퍼포먼스다. 무엇보다 완전히 망가진 것으로 간주되었던 슈팅 매커니즘이 부활하면서 득점 효율성이 몰라보게 개선되었다. 플레이오프에서의 활약이 기대되는 이유다.

트레버 아리자(워싱턴 위저즈/10년차)
2012-13시즌  평균 26.3분 출전 9.5득점 4.8리바운드 FG 41.7% 3P 36.4%
2013-14시즌  평균 36.0분 출전 14.9득점 6.4리바운드 FG 46.1% 3P 41.9%

아리자는 프로스포츠 선수가 FA 시즌에 왜 잘해야 하는지 설명할 수 있는 좋은 교보재다. 뉴욕 닉스에서 데뷔한 이래 큰 특징 없는 선수로 머물렀던 그는 2008-09시즌 LA 레이커스의 핵심 로테이션 멤버로 활약하며 팀 우승에 큰 힘을 보탰다. 덕분에 주가가 급상승했고, 휴스턴과 5년 3,395만 달러 상당의 준수한 장기계약을 맺을 수 있었다. 하지만 고액 연봉자가 된 그는 더 이상 ‘저비용 고효율’ 선수가 아니었다. 설상가상으로 부상까지 겹치며 여러 팀을 전전하는 먹튀 저니맨(Journeyman)이 되고 만다.

위에서 그의 계약 기간이 5년이라고 언급했다. 그렇다. 이번 시즌을 끝으로 현(現) 소속 팀 워싱턴과의 보장 계약이 종료된다. 그리고 아리자는 귀신 같이 부활에 성공해 또 다른 FA 대박을 노리고 있다. 평균 출전 시간과 득점, 리바운드, 야투 성공률, 3점슛 성공률에서 모두 커리어 하이를 기록하고 있으며 각각 자유투와 3점슛에 보정을 가한 TS% 59.9%(리그 전체 13위), eFG% 57.0%(10위) 역시 대단히 우수하다. 커리어 평균과 매우 큰 차이가 나는 점을 감안하면 FA로이드라는 표현 말고는 설명하기 힘들 정도다. 어쨌든 소속 팀 워싱턴도 오랜만에 플레이오프 나들이를 준비하고 있는 만큼 선수 본인의 미래와 팀의 현재를 모두 충족시키는 멋진 활약이다.

알 제퍼슨(샬럿 밥캐츠/10년차)
2012-13시즌  평균 33.1분 출전 17.8득점 9.2리바운드 1.1블록슛 FG 49.4%
2013-14시즌  평균 34.4분 출전 21.6득점 10.5리바운드 1.1블록슛 FG 50.5%

제퍼슨의 경우 개인 성적이 반등한 것 보다는 선수 가치 자체가 재평가되고 있다는 표현이 올바를 것이다. 미네소타 팀버울브스와 유타 재즈 시절에도 개인 성적은 무척 좋았다. 특히 공격력 하나만큼은 리그의 어떤 빅맨과 견주어도 전혀 밀리지 않았다. 하지만 현대 농구의 흐름과 맞지 않는 부족한 투맨 게임 능력, 수비에서의 한계 등으로 인해 팀을 플레이오프로 이끌 수 있는 선수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고개를 젓게 만들었다. 전형적으로 숫자에 비해 실제 가치가 떨어지는 선수였던 셈이다.

샬럿이 그를 FA로 영입한 것은 신의 한 수나 다름없었다. 제퍼슨은 부족한 인사이드 생산력을 책임질 수 있는 적임자다. 지난 시즌 샬럿의 페인트존 평균 득점은 25.3점으로 리그 1위 유타와 무려 21.1점이나 차이가 났다. 당연히 리그 꼴찌. 제퍼슨을 영입한 이번 시즌의 경우 평균 37.4점으로 무려 12.1점이 증가했다. 내/외곽의 조화가 이루어지면서 팀 성적 역시 반등했고, 오랜만에 플레이오프 진출까지 바라보고 있다. 선수 본인도 플레이오프 진출 경쟁이 치열해진 3월에 평균 25.4득점 10.8리바운드 2.4어시스트 야투성공률 55.9%로 더욱 힘을 내고 있다.

염용근 기자(shemagic2@naver.com)
저작권자 ⓒ 루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사진 캡쳐 = 데런 윌리엄스 공식 홈페이지(http://www.deronwilliams.com)
사진 캡쳐 = 카일 라우리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pages/Kyle-Lowry)
사진 제공 = NBA 미디어 센트럴

저작권자 © ROOKI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