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휠체어 농구 영화 '달팽이 농구단' 개봉! 고은기 감독 "휠체어 농구의 매력은요..."
[루키 = 서울, 김혁 기자] "휠체어 농구가 왜 장애인 스포츠의 꽃인지 알게 되실 겁니다."
영화 '달팽이 농구단'이 12일 극장에서 전격 개봉했다. 이를 앞두고 10월 30일 서울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는 '달팽이 농구단' 언론 시사회가 열렸다.
‘달팽이 농구단’은 대한민국 최초로 휠체어 농구를 소재로 한 영화다. '코트의 여우'로 불리며 코트를 호령했던 국가대표 명가드 출신의 고(故) 이원우 감독과 제자 한사현 감독의 실화를 모티브로 작품이 구성됐다.
영화를 연출한 고은기 감독이 중점을 뒀던 포인트는 무엇일까. 휠체어 농구는 장애인 스포츠이긴 하지만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스포츠라는 장점이 있다.
언론시사회 현장에서 만난 고은기 감독은 "휠체어 농구가 장애인 스포츠이긴 하지만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한다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그리고 배우들이 실제로 연습하는 과정에서 진짜 선수처럼, 선수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그러한 모습들이 영화 속에 보였으면 하는 마음으로 찍었다"고 강조점을 설명했다.
그는 휠체어 농구의 매력을 묻자 스피드와 격렬함을 꼽았다. 다른 스포츠 또한 격렬함이 있지만 휠체어 농구는 휠체어가 다리를 대신하기 때문에 다르게 느껴질 수 있다.
고은기 감독은 "휠체어 농구에는 덩크슛이 없지 않나. 두 바퀴가 지면에서 띄워지는 순간 반칙이 된다. 벤허의 전차 경주처럼 지면에서 최대한 빠르고 격렬하게 움직일 수밖에 없다. 그런 모습이 일반 농구와는 다른 면이 있다. 스피드와 격렬함, 파이팅이 포인트인데 물론 모든 스포츠는 파이팅이 있지만 쇠와 쇠가 충돌한다는 점에서 다를 수 있다. 다리를 대신한 휠체어가 그 역할을 대신하니까 격렬함이 일반 농구와는 다를 수 있다. 마치 탱크가 움직이는 것 같은 느낌이 있다"고 말했다.
영화 연출을 위해 프로 스포츠 농구도 시청하면서 공을 들였던 고 감독이다. 처음에는 생소한 농구 용어에 애를 먹기도 했지만 점점 농구의 매력에 빠져든 듯했다.
고 감독은 "이 영화를 준비하면서 NBA를 시작으로 굉장히 많은 농구 경기를 시청했다. KBL 경기도 시청하면서 룰도 알고 이해는 했지만 농구 용어가 어렵더라. 나한테는 생소한 언어라 알아가는 과정이 힘들긴 했지만 휠체어 농구 영화를 연출하면서 농구가 재밌어지는 단계까지 왔다. 지금은 농구 용어도 어느 정도 알아들으니까 보는 건 재밌게 즐길 수 있는 단계가 됐다"고 말한 뒤 휠체어 농구를 좋아하면 일반 농구도 반드시 좋아하시게 될 것"이라고 자신 있게 이야기했다.
고 감독이 끝으로 관객들에게 전한 메시지는 무엇일까? 그는 '달팽이 농구단'을 보고 왜 휠체어 농구가 장애인 스포츠의 꽃인지 알게 될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고 감독은 "영화가 휴먼 스포츠 액션으로 장르를 규정 짓긴 했지만 스포츠 영화는 대부분 휴먼일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스포츠 자체가 액션이라고 할 수 있고 이 영화를 장르적으로 파이팅 넘치는 그런 측면에서 휠체어 농구로만 봐주시길 바란다. 사회적 시선이나 편견 같은 걸 다 걷어내고 새로운 스포츠에 대한 궁금증, 재미를 통해 왜 휠체어 농구가 장애인 스포츠의 꽃인지 느끼시길 바란다. 흔히들 경찰의 꽃은 강력계라고 하시지 않나. 꽃은 힘들고, 어렵고, 하기 싫어하는 것이기 때문에 꽃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장애인 스포츠의 꽃인 휠체어 농구가 왜 꽃인지 영화를 보시면 아시게 될 것"이라고 메시지를 건넸다.
사진 = 파인스토리/삼백상회 제공